고흥류씨 인물조선시대
조선시대
제목 조선시대 인물
작성자 관리자 [2024-03-25 15:48:52]
읽음횟수 28
첨부파일
첨부된파일갯수 : 1
기본사진.png

류 준(柳 濬) 1321 (충숙왕 8) ~ 1406 (태종 6)

시호(諡號)는 호안(胡安), 첨의정승(僉議政丞청신(淸臣)의 손자음보(蔭補)로서 부위(府衛)가 되고천우위 상호군(千牛衛上護軍)에 승진하여 원나라 조정의 명으로 명위장군(明威將軍)․전라도 진변만호부(全羅道鎭邊萬戶府다루가치를 세습(世襲)했다.

오랫동안 이성계(李成桂)의 휘하에 있었으며, 1388(우왕 14) 밀직부사상의(密直副使商議)가 되고이성계가 도총중외제군사(都摠中外諸軍事)에 승진하자 그 막하에 속했다. 1392년 조선 태조(太祖)가 즉의하자 검교참찬문하부사(檢校參贊門下府事)가 되어 고흥백(高興 伯)에 봉해졌으며, 1400(정종 2)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치사했다.


류 습(柳 濕) 1367 (공민왕 16) - 1439 (세종 21)

시호(諡號)는 양정(襄靖), 시중(侍中()의 아들음보(蔭補)로 합문 인진사(閤門引進使)가 되고, 1392년 조선 건국 후 과의상장군(果毅上張軍)에 특진태종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예조․형조․병조․이조 등의 전서(典書)를 역임한 후 전라․충청․평안도의 도절제사(都節制事)를 지냈다.

이어 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에 승진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1419(세종 1) 우군원수(右軍元帥)로 쓰시마도(對馬島정벌에 참전했다고흥(高興운곡사(雲谷祠)에 제향되었다.


류호지(柳好池) 1462(세조 8) 무과(武科)에 급제, 1466(세조 12) 등 준시(登俊詩)에 합격(合格)했다이듬해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平定)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되었으며진도(珍島)․안성 군수(安城郡守)를 거쳐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가 되었다.


류효산(柳孝山) 1475(성종 6)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사도시정(司導寺正)을 거쳐 공주 판관(公州判官)․충청 도사(忠淸都事)․안악 군수(安岳郡守)등을 지냈다. 1509년 원종훈(原從勳)으로 도승지(都丞指)․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에 추증(追贈)되었다.


류 의(柳 依字는 인경(仁卿). 조선 때 서예(書藝)에 특출하여 왕희지(王羲之)의 필법(筆法)을 터득했다. 1504(연산군 10)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남포(藍浦)․고성(固城)․고산(高山등지의 외직(外職)으로 나가 선정(善政)을 베풀어 모두 불망비 (不忘碑)가 세워졌다뒤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경력(經歷등을 역임하였다.


류귀산(柳龜山()는 경암(敬庵). 조선(朝鮮때 경세(經世)에 박통(博通)하여 당세(當世)의 저유(著儒)가 되었다.


류충관(柳忠寬()는 홍중(弘仲). 1521(중종 16) 정시문과(庭詩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를 거쳐 사간(司諫)에 이르렀다권간(權奸김안로(金安老)를 면책하여 조정을 놀라게 했다.


류충정(柳忠貞()는 중간(仲幹). 1534(중종 29)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부안(扶安)․강진(强震)․김해(金海)․장흥(長興)․온성 군수(穩城郡守)를 지냈다.


류충신(柳忠信()는 성중(誠仲). 1564(명종 19) 음보(蔭補)로 부사직(副詞直)이 되고, 1570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로 있을 때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종질(從姪류황(柳 滉)과 함께 이순신(李舜臣)의 막하(幕下)에 들어가 많은 전공 (戰功)을 세웠다고흥(高興)의 운곡사(雲谷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충서(柳忠恕()는 추중(推仲). 1592(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왕()을 호종(扈從)했으며권 율(權 慄)의 막료(幕僚)가 되어 행주(幸州싸움에서 많은 공을 세운 후독운관(督運官류몽사(柳夢獅)와 함께 군량(軍糧) 10여만 석()을 선천(宣川)으로 보냈다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策錄)되고호조 참판(戶曺參判)에 추증(追贈), 금산(錦山)의 대첩사(大捷祠)와 고흥(高興)의 운곡사(雲谷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의함(柳宜諴) 1523(중종 18)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삼수 군수(三水郡守)를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경기도 수군절도사(京畿道水軍節度使)가 되었다.


류득춘(柳得春수문장(守門將)으로 있다가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대가(大駕)를 호종(扈從)하였으며평양성(平壤城싸움에서 순절(殉節)했다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호조 참의(戶曺參議)에 추증되었다.


류 경(柳 經) 1506(중종 1) 박원종(朴元宗등과 함께 연산군(燕山君)을 몰아내고 진성대군(晋城大郡()을 추대하여 정국3등공신(靖國三等功臣)․병조 참판(兵曹參判)이 되고 고흥군(高興君)에 봉해졌다.


류 면(柳 沔()는 중원(仲源). 1489(성종 20) 음보(蔭補)로 참봉(參奉)이 되고가평 현감(加平縣監), 영해(寧海)․면천 군수(沔川郡守등을 역임 하였다이어 덕원(德源)․부평 부사(富平府使등 여러 직을 거쳐 내자시정(內資寺正)이 되었다.


류 연(柳 淵()는 정숙(靜叔). 조선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조봉대부(朝奉大夫)에 오르고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송화 현감(松禾縣監등을 역임하였다.


류 탱(柳 樘()는 대지(大支). 조선(朝鮮)에서 판서(判書)를 역임하였다.


류 주(柳 澍()는 시숙(時淑), ()는 한천(寒泉). 1561(명종 16)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兵科)로 급제하여 풍기(豊基)․청도(淸道등지의 외직(外職)을 거쳐 사복시정(司僕寺正)이 되고뒤에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이르렀다나주(羅州)의 보산사(寶山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 온(柳 溫()는 기보(基甫). 1592(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김천일(金天鎰)과 함께 맹약(盟約), 창의(倡義)하여 궁마양향(弓馬糧餉)을 도와 큰 공을 세웠다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에 책록(策錄)되고 주부(主簿)로 부사과(副司果)를 제수 받았다.


류 은(柳 溵()는 심보(深甫), ()는 남호(南湖). 1576(선조 9) 별시문과(別詩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이 되어 관아(官衙)에서 죽었다. 1606 (선조 39) 선계변무(선系辨誣)의 노고(勞苦)를 포상(褒賞)하여 광국훈(光國勳)에 책록(策錄)되고 도승지(都丞指)에 추증(追贈), 나주(羅州)의 보산사(寶山祠)에 제향되었다.


류 척(柳 滌) 1592(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때 대가(大駕)가 파천(播遷)했다는 소식을 듣고 분연(奮然)히 한산도(閑山島이순신(李舜臣진중(陣中)으로 뛰어가 방책(方策)을 협찬(協贊)하던 중 불행히 중도(中途)에서 죽었다통정대부(通政大夫)와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追贈)되었다.


류 순(柳 淳()는 호숙(灝淑), ()는 송암(松庵). 조선 때 음보(蔭補)로 사옹원 직장(司甕院直長)이 되고, 1592(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에 호종운향(扈從運향)의 공()으로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에 책록(策錄)되고 중훈대부(中訓大夫)에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가 되었다.

그 후 광해군(光海君때 북풍시(北風詩)를 지어 족질(族姪몽인(夢寅)에게 전하고 바로 낙향(落鄕)하여 은거(隱居)했다고흥(高興)의 운곡사(雲谷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 계(柳 溪()는 거용(擧用). 1592(선조 25) 계부(季父)의 충서(忠恕)를 따라 왕()을 의주(義州)로 호종(扈從)을 했다그후 권율(權 慄)․이순신(李舜臣)의 막하(幕下)에서 활약()을 세우고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에 책록(策錄), 제주 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고흥(高興)의 운곡사(雲谷祠), 금산(錦山)의 대첩사(大捷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 일(柳 溢()는 여겸(汝謙). 조선 때 인의(引儀)를 지냈다.


류 연(柳 淵()는 공시(公時). 1592(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버지 의신(義臣)을 따라 한산도(閑山島진중(陣中)에서 싸우다가 아버지가 적탄(敵彈)에 쓰러지자 부명(父命)을 받아 군졸(軍卒)을 이끌고 적()을 섬멸했으며아버지 시체(屍體)를 고향(故鄕)인 천안(天安)에 장사(葬事지내고, 3(시묘(侍墓)를 했다나이 90에 이르도록 아버지가 천수(天壽)를 다하지 못했음을 슬퍼하여 혼인(婚姻)하지 않고 은둔(隱遁)을 자청(自請)하였다. 1742(영조 18) 명정(命旌)되었다.


류춘영(柳春英()는 자화(子華), ()는 죽계(竹溪). 조선 때 사직(司直)을 지냈다.


류춘발(柳春發()는 중화(仲華), ()는 관란(觀瀾). 1561(명종 16) 무과(武科)에 급제하고사복시 주부(司僕寺主簿)가 되고광양(光陽)․교동(喬桐)․흥덕 군수(興德郡守등을 거쳐 충주(忠州), 청주 판관(淸州判官)을 역임한 후 보성 군수(寶城郡守)를 지냈으며, 1592년 접빈사(接賓使)가 되었다.


류세웅(柳世雄시호(諡號)는 가정(嘉靖). 조선조에 어영대장으로 구월사적(九月山賊)을 토벌했으며한성 판윤(漢城判尹)․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내고 흥양군(興陽君)에 봉해졌다.


류몽사(柳夢獅()는 서백(瑞伯). 1592(선조 25) ()을 의주(義州)로 호종(扈從)하고그후 독운관(督運官)이 되어 10여만 석()의 군량(軍糧)을 조운(漕運)하였다활인서 별제(活人署別提), 선공감역(繕工監役)을 지내고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류몽표(柳夢彪()는 응병(應炳). 조선 때 부정(副正)을 지냈다.


류몽인(柳夢寅) 1559 (명종 14) ~ 1623 (인조 1)

()는 응문(應文), ()는 어우당(於于堂), 간재(艮齋), 묵호자(黙好子), 시호(諡號)는 의정(義貞), 사간(司諫충관(忠寬)의 손자()의 아들성혼(成渾)의 문인. 1582(선조 15) 진사(進士)가 되고, 1589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1593년 문학(文學)이 되었다.

선조(宣祖말년에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좌승지(左承旨)․도승지(都丞指)를 역임, 1612(광해군 4) 예조 참판(禮曹參判)이 되고이어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전임했다폐모론(廢母論때 이이첨(李爾瞻)과 대립이에 가담하지 않아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때 화를 면했으나 류응시(柳應時)의 고변(告變)으로 아들 약()과 함께 사형되었다.

조선 중기의 설화문학(說話文學)의 대가였으며전서(篆書)․예서(隸書)․해서(楷書)․초서(草書)에 모두 뛰어났다정조(正組때 신원(伸寃)되고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追贈), 흥양의 운곡사(雲谷祠),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祭享)되었다.


류운(柳 澐()는 심부(深夫), ()는 석탄(石灘). 조선 때 문장(文章)이 화미(華美)하고 금회(襟懷)가 쇄락(灑落)하며 강개(慷慨)한 지절(志節)이 있어 퇴사시(退仕時)를 짓고 고창(高창)에 은거(隱居)하였다.


류동양(柳東陽조선에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냈다.


류동립(柳東立) 1577(선조 10)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합격하여 호조 정랑(戶曹正郞)이 되고임진왜란(壬辰倭亂때 호가(扈駕)하여 원종 공신(原從功臣)에 책록(策錄)되었다.


류동휘(柳東輝()는 사명(士明). 조선 때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여 1623년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에 책록(策錄)되고, 1627(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자 강화(江華)로 왕()을 호종(扈從)하여 그 공()으로 승지(承旨)가 되었다병자호란(丙子胡亂때 조카 류철견(柳鐵堅)과 더불어 의병(義兵)을 모집해서 여산(廬山등지에서 싸웠다.


류광정(柳光貞()는 정숙(正淑), ()는 남천정(南川亭). 조선 때 학문(學問)에 뜻이 있어 경사(經史)에 박통(博通)하였고형 광형(光亨)과 함께 부모상(父母喪)을 당하여 3(시묘(侍墓)하였다. 1592년의 임진왜란(壬辰倭亂)과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창의(倡義모병(募兵)하여 곽재우(郭再祐막하(幕下)에서 활약만년(晩年)에서 남천상(南川上)에 정자(亭子)를 짓고 후진양성(後進養成)에 힘쓰니 세인(世人)이 그곳을 서당동(書堂洞)이라 일컬었고지금도 충효유지(忠孝遺趾)로서 전해 온다.


류성인(柳成仁()는 사수(士壽), ()는 돈헌(遯軒). 조선 때의 사(義士)였다.


류극인(柳克仁()는 사임(士任), ()는 학재(學齋). 1594(선조 2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훈련원 봉사(訓鍊院奉事)가 되고 1597년 정우재란(丁酉再亂)에 백형(伯兄류경인(柳景仁), 중형(仲兄류성인(柳成仁)과 함께 우치(牛峙)에서 역전(力戰)하다가 백형은 전사(戰死)하고중형이 부상(負傷)하니 더욱 분전(奮戰)하여 적()을 수없이 참살(慘殺)하였다이로 인해 세인(世人)들이 일문삼의사(一門三義士)라 일컬었고, 1881(고종 18) 명정(命旌)되었다.


류익겸(柳益謙()는 사수(士受).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창의(倡義)하였으며정유재란(丁酉再亂때 다시 칠산양(七山洋)에서 싸우다가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형세(形勢)가 기울자 처(송씨(宋氏), 아들 집약(潗瀹), 며느리 정씨(丁氏)․김씨(金氏등 일가족이 모두 바다에 몸을 던져 순절(殉節)했다.


류의신(柳義臣()는 언정(彦正), ()는 송정(松亭). 1583(선조 16) 무과(武科), 1591년 무과중시(武科重試)에 급제했다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봉장(先鋒將)으로 가덕포(加德浦)와 웅천포(熊川浦싸움에서 공()을 세워우수사(右水使이억기(李億祺)의천거로 훈련원 주부(訓鍊院主簿)가 되고이어 첨정(僉正)이 되었다한산도(閑山島)싸움에서 전사(戰死),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에 책록(策錄)되고호조 참의(戶曹參議)에 추증 되었다.


류춘필(柳春苾()는 단구(丹邱). 1549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가 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읍(井邑)․거의(擧擬)․여산(礪山)에서 군량(軍糧)을 모아 통영(統營)으로 보냈다정유재란(丁酉再亂)때 의병(義兵)을 이끌고 한마교(汗馬橋)에서 싸우다 전사(戰死)했다정읍(井邑)의 충렬사(忠烈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희진(柳希津()는 택민(澤民), ()는 신암(信巖). 조선 때 종묘서부봉사(宗廟署副奉事)가 되고,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때 동지(同志)들과 의곡(義穀) 5백 석()을 모아 강화(江華)로 조운(漕運)했다.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의병(義兵)을 모아 적()과 싸워 많은 공()을 세우고복병(伏兵)에게 습격을 받아 전사(戰死)했다. 1798(정조 22)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에 추증(追贈), 정읍(井邑)의 충렬사(忠烈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경인(柳景仁()는 사영(士榮), ()는 송은(松隱). 조선 때 직장(直長)을 지냈다.


류국주(柳國柱조선 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류국추(柳國樞()는 중일(仲一). 조선 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류 광(柳 洸()는 무숙(武叔). 1590(선조 23) 생원(生員), 진사(進士양시(兩試)에 합격하고임진왜란(壬辰倭亂때 왕()을 의주(義州)로 호종(扈從)한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이 되고, 1616(광해군 8) 문과(文科)에 급제 하여 사헌부(司憲府), 홍문관(弘文館등을 거쳐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이르렀다.


류영해(柳永海()는 심원(深源), ()는 모정(茅亭).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때 계부(季父류익겸(柳益謙)과 함께 격문(檄文)을 보내 창의(倡義)하여 고경명(高敬命), 곽재우(郭再祐등에게 무기(武器)를 조달(調達)해 보냈다.

의곡(義穀)을 모아 의주(義州)의 행재소(行在所)에 보낸 공()으로 강원도 도사(江原道都事)가 되었다. 1612(광해군 4) 폐모론(廢母論)이 나오자 극간(極諫)하다가 회령(會寧)으로 유배(流配)되었다.


류 오(柳 澳()는 중원(仲源), ()는 계정(溪亭).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에 부모 형제(父母兄弟)가 모두 해상(海上)에서 순절(殉節)하고왜구(倭寇)에게 생포(生捕)되어 쓰시마도(對馬島)에 유폐(幽閉)되었다가 풀려 나왔다.

고향(故鄕)에 돌아와 조고(組考()의 영정(影幀)과 고비(考妣)의 신주(神主)를 추조(追造)하고 3년상(年喪)을 추복(追服)하니세인(世人)들이 그 효()를 칭송했다. 1887(고종 24)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류경지(柳敬地()는 백후(伯厚). 조선 때 절제사(節制使)를 지냈다.


류광춘(柳光春) 1594(선조 2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노성(魯城), 태인(泰仁등지의 군수(郡守)를 역임했다정유재란(丁酉再亂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 1()에 책록(策錄)되고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에 올랐다한성판윤(漢城判尹)에 추증(追贈)되었다.


류 숙(柳 潚) 1564 (명종 19) ~ ?

()는 연숙(淵淑), ()는 취흘(醉吃), 부정(副正몽표(夢彪)의 아들. 1588(선조 21)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597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검열(檢閱)이 되고, 1608년 사가독서(賜暇讀書)했다사서(司書), 수찬(修撰), 응교(應교), 장악원정(掌樂院正), 종부시정(宗簿寺正등을 거쳐 부제학(副提學)에 이르러 영주군(瀛州君)에 봉해지고 대사간(大司諫)․형조 참판(刑曹參判등을 지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직후 광해군 때 역신(逆臣)의 심복이었다는 죄로 청하(淸河)에 위리안치(圍籬安置)뒤에 숙부(叔父몽인(夢寅)의 역모 사건(逆謀事件)에 연좌다시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祭享)되었다.


류 활(柳 活()는 원숙(原叔), ()는 태우(泰宇). 1606(선조 39)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뽑히고이조 정랑(吏曹正郞)을 거쳐 의정부 검상(議政府檢詳)에 이르렀다. 1623년 숙부(叔父몽인(夢寅)의 일에 연루되어 보성(寶城)에 배되었다그후 풀려나와 경기도사(京畿都事)가 되었으나 사퇴했다.


류 찬(柳 澯()는 영숙(永叔). 조선 때 노모(老母)를 봉양하기 위하여 세자익위사위수(世子翊衛司衛수)가 되었는데 마침 폐모 사건(廢母事件)이 일어나자 벼슬을 그만두고 은거생활(隱居生活)을 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후 광해조(光海朝)의 절신(節臣)이라 하여 헌직을 주려 했는데 숙부(叔父몽인(夢寅)의 일에 연루되어 고흥(高興)으로 유배후에 철원(鐵原)으로 옮겼으며 배소(配所)에서 죽었다. 1795년 (정조 19)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추증(追贈)되었다.


류 약(柳 瀹) 1580 (선조 13) ~ 1623 (인조 1)

()는 약이), 참판(參判몽인(夢寅)의 아들음보(蔭補)로 등용되어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가 되고, 1613년 (광해군 5)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15년 사가독서(賜暇讀書)했고겸설서(兼說書), 검열(檢閱),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역임이듬해 헌납(獻納)으로 문고중시(文科重試)에 병과로 급제이어 교리(校理), 공조 좌랑(工曹佐郞), 형조 좌랑(刑曹佐郞등을 지냈다.

1617년 정인홍(鄭仁弘)의 사주로 폐모론(廢母論)을 주장,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후 아버지와 함께 사형되었다. 1794(정조 18) 신원(伸寃)되었다.


류우장(柳友樟()는 이건(而建), ()는 수의부(守議富). 1613(광해군 5) 폐모사건(廢母事件)이 일어나자 과거(科擧볼 것을 단념하고 자취를 감추었다가 1623(인조 1) 인조반정(仁祖反正후에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이 되고, 1637년 병자호란(丙子胡亂때 임금이 삼전도(三田渡)에서 항복했다는 말을 듣고 통곡(痛哭)하고 돌아와 양이시(攘夷詩)를 지었다.


류경원(柳慶元()는 선량(善良). 1603년 (선조 36)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봉사(奉事)를 거쳐 훈련원 주부(訓鍊院主簿)가 되었다.

1624(인조 2) 이 괄(李 适)의 난()을 일으킬 기미를 보이자 헌책(獻策)하였으나 주장(主將)이 듣지 않았으므로 벼슬을 버리고 전원(田園)으로 돌아갔다.


류동인(柳東仁()는 선영(善榮). 1603(선조 36)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병절 교위(秉節校尉), 발포 만호(鉢浦萬戶)에 이르고, 1624년 이 괄(李 适)의 난()에 장 만(張 晩)의 막하(幕下)로 들어가 안현(鞍峴)에서 공()을 세웠고그후 향리(鄕里)로 돌아가 금서(琴書자적(自適)하였다.


류철견(柳鐵堅()는 여수(汝壽), ()는 양곡(暘谷). 조선 때 찰방(察訪)을 지냈다.


류여회(柳汝檜()는 용직(龍直), 1624(인조 2) 이 괄(李 适)의 난()이 일어나자 의사(義士)들을 규합(糾合)하여 모병(募兵), 수량(輸糧)한 공이 커 통정대부(通政大夫),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등용되었다고창(高敞)의 벽산사(碧山祠)에 제향(祭享)되었다.


류시번(柳時蕃()는 진숙(晋叔), ()는 송재(松齋).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624(인조 2) 이 괄(李 适)의 난(때 아우 시발(時發), 시화(時華)와 함께 동지(同志)를 모아 공주 행재소(公州行在所)에 호종(扈從)했으며, 1627(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때 모곡유사(募穀有司)가 되어 군량수집(軍糧收集)에 공()이 컸기 때문에 금부도사(禁府都事)에 임명했으나 불취(不就)하였다.


류지태(柳之泰()는 내보(來甫), ()는 반죽재(伴竹齋).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인근에 격문(檄文)을 돌려 의병(義兵과 군량(軍糧)을 모았다.

여산(礪山)을 거쳐 청주(淸州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왕()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분개해서 그대로 진군(進軍)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隱居)했다수직(壽職)으로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이 되고의정부 참정(議政府參政)에 추증(追贈되었다.


류영징(柳榮徵()는 여휴(汝休), ()는 돈와(遯窩). 조선 때 부사(府使)를 지냈다.


류흥우(柳興雨()는 성로(城露).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오르고, 1742(영조 18) 효자(孝子)로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류필원(柳必源()는 원백(源伯), ()는 일평(一萍).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1722(경종 2) 나라에서 효자(孝子)로 정려(旌閭)를 내렸고, 1889(고종 26)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 참판(戶曺參判),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에 추증(追贈)되었다.


류혜원(柳惠源()는 원중(源仲), ()는 허재(虛齋). 어려서부터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그 고을 원(군수)이 그곳을 효평(孝坪)이라 칭()하고, 1722(경종 2) 효자(孝子)로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1829(순조 29) 도내 사림(士林)의 공의(公議)로 창효사(彰孝祠)에 제향(祭享)되었다가 용강사(龍岡祠)로 이향(移享)되었다. 1890년 (고종 27)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경연 참찬관(經筵參贊官)에 추증(追贈)되었다.


류종흥(柳宗興()는 진보(振甫), ()는 월곡(月谷), 부제학(副提學()의 증손최서림(崔瑞林)의 문인. 1689(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될 때 여러 선비들을 이끌고 대궐에 들어가서 그 부당함을 주장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산속에서 살다가 1694(숙종 20)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남인(南人)들이 숙청됨으로써 왕비가 환궁하자 시()를 지어 기쁨을 표한 후에도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류윤흥(柳胤興()는 술경(述卿). 조선(朝鮮때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냈다.


류동기(柳東起()는 군서(君瑞). 조선(朝鮮때 부사(府使)를 역임하였다.


류덕휴(柳德庥()는 자윤(子潤), ()는 삼애(三涯). 조선 때 효자(孝子)로 향민(鄕民)의 칭송을 받았다.


류이택(柳以澤()는 윤경(潤卿). ()는 두봉(斗峯). 조선(朝鮮)의 학자(學者)로 문명(文名)이 높았다.


류 간(柳 諫()는 여직(汝直). 1707(숙종 33) 별시문과(別詩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순천(順天), 종성(鍾城등지의 군수(郡守)를 지내며 치적(治績)을 남겼고 전적(典籍)을 거쳐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이르렀다.


류 건(柳 謇()는 여정(汝正). 1729(영조 5)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병조 참의(兵曹參議),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지냈다.


류진한(柳振漢()는 중백(重伯). ()는 만화당(晩華堂). 15세에 경서(經書)와 백가서(百家書)에 통달하고 시문(時文)에 뛰어났다당시 영상(領相)이 누차 보기를 청했으나 거절하고영회당(英會堂)을 짓고 오직 후진육성(後進育成)에만 힘썼다.


류종극(柳宗極()는 공여(拱汝). 조선 때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지체(志體)를 겸양(兼養)했다부친상(父親喪)을 만나 장지(葬地)를 미처 정하지 못했는데 밤에 문득 대호(大虎)가 뜰로 들어왔다주선(周旋)하는 사람들이 대경실색(大驚失色)했지만 뜰에 나가 뜻을 살피니 등에 업히기를 청()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등에 업히자 덕암원 봉상(德岩圓峰上)에 이르러 장지(葬地)를 지점(指點)하는 것이었다그 곳에 안장(安葬)하고 3년을 하루 같이 시묘(侍墓)하니 효자(孝子)로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을 특제(特除받았다.


류빈현(柳彬賢()는 군성(君聖), ()는 일사(一沙). 품성(稟性)이 단정(端正)하고 경사(經史)에 박통(博通)하며효성(孝誠)이 지극하여 1887(고종 24)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류세기(柳世箕()는 양수(陽 ), ()는 수한(睡漢). 조선 때 효자(孝子)였다.


류영일(柳榮日()는 산립(山立), ()는 백의(白衣). 조선 때 학자(學者)였다.


류영보(柳榮補()는 흥숙(興叔). 1812(순조 12)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기린 찰방(麒麟察訪)과 무안 현감(務安縣監등의 외직(外職)을 거쳐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장악원정(掌樂院正), 대사간(大司諫),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이르렀다.


류영하(柳榮河) 1787 (정조 11) ~ 1868 (고종 5)

()는 선여(善汝), ()는 보산(甫山), 우의정 관()의 아들이 항(李 恒)의 문인. 1819(순조 1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헌종(憲宗때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거쳐 1858(철종 9) 대사간(大司諫)이 되었으며고종(高宗때 공조 참판(工曹參判)에 승진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을 겸임했다.


류영오(柳榮五()는 숙도(叔陶), ()는 율리(栗里), 1803(순조 3)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이 되고시폐(時弊)를 상소(上疏)했다가 신지도(新知島)로 유배(流配)되었으나 곧 풀려 양근산(楊根山)에서 이항로(李恒老)와 더불어 후진(後進)을 양성(養成)하는데 힘썼다전적(典籍), 지평(持平),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거쳐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역임하였다.


류 택(柳 澤()는 사윤(士潤). 조선 때 부총관(副摠管)을 지냈다.


류 성(柳 醒()는 경수(敬叟), ()는 사이당(四二堂). 1807(순조 7) 생원(生員)이 되고효성(孝誠)이 지극하여 친환(親患)에는 꿈에 신방(神方)을 얻어 완쾌(完快)시키기를 누차 했다. 1855년 (철종 6) 효자(孝子)로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류원순(柳源淳()는 자승(子勝), ()는 청송당(靑松堂). 조선 때 음보(蔭補)로 충무위 사용(忠武衛司勇), 용양위 부호군(龍 衛副護軍),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렀고만년에는 후진양성(後進養成)에 힘썼다.


류병욱(柳秉郁()는 내근(乃根), ()는 경봉(警峰). 조선 때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1887(고종 24) 나라에서 효자(孝子)로 정려(旌閭)를 명()하고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경연 참찬관(經筵參贊官에 추증(追贈)되었다.


류중교(柳重교) 1821 (순조 21) ~ 1893 (고종 30)

()는 치정(致政), ()는 성재(省齋), 시호(諡號)는 문간(文簡), 양근(楊根출신. 5세 때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수업그후 김평묵(金平黙문하로 옮기고, 21세 때 이항로의 명으로 「송원화동사합편강목(宋元華東史合編綱目)」을 수정했다.

1876(고종 13)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881년 척사위정(斥邪衛正)의 소론(疏論)이 일어나자 김평묵과 함께 구법보수(舊法保守)와 척양척왜(斥洋斥倭)를 열렬히 주장했다뒤에 지평(持平)으로 임명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설악산(雪嶽山)에 들어가 나오지 않았다.

처음에는 이항로의 설을 따라 주리설(主理說)을 주장하였으나만년에는 한원진(韓元震)의 호론(湖論)을 지지심즉기(心卽氣)의 학설을 옹호함으로써 스승 이항로의 학설에 반기를 들었다죽은 후 제학(提學)에 추증(追贈), 고산(高山)의 삼현서원(三賢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이전글 ...
다음글 ...